제레미 스펜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레미 스펜서는 영국의 기타리스트이자 싱어송라이터로, 1948년 영국 더럼주 하틀풀에서 태어났다. 그는 슬라이드 기타 연주로 유명하며, 1967년 플리트우드 맥에 합류하여 밴드의 초기 블루스 사운드 형성에 기여했다. 1971년 밴드를 탈퇴한 후 솔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1998년에는 플리트우드 맥 멤버로서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이후에도 꾸준히 앨범을 발표하며 음악 활동을 이어갔고, Steetley라는 트리오를 결성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블루스 음악가 - 알렉시스 코너
알렉시스 코너는 1928년 파리에서 태어나 1984년 사망한 영국의 블루스 음악가, 라디오 진행자, 음악 저널리스트로, 영국 블루스 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2024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영국의 블루스 음악가 - 에릭 버든
에릭 버든은 1960년대 브리티시 인베이전 밴드 더 애니멀스의 리드 보컬로 "House of the Rising Sun" 등의 히트곡을 내고, 이후 에릭 버든 & 워(War) 협업 및 솔로 활동으로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한 잉글랜드 록 가수로,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싱어 100인에 선정되고 록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플리트우드 맥의 일원 - 닐 핀
닐 핀은 스플릿 엔즈와 크라우디드 하우스를 거쳐 솔로와 핀 브라더스 활동, 플리트우드 맥 협업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며 대영 제국 훈장을 받은 뉴질랜드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뮤지션이다. - 플리트우드 맥의 일원 - 스티비 닉스
스티비 닉스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로, 플리트우드 맥의 멤버로 활동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솔로 데뷔 후에도 성공적인 경력을 이어갔으며, 독특한 보컬 스타일과 신비로운 무대 매너로 사랑받았고,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두 번 헌액되었다. - 잉글랜드의 록 기타 연주자 - 존 레논
존 레논은 비틀즈 멤버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솔로 활동과 평화 운동으로 20세기 대중음악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예술가이다. - 잉글랜드의 록 기타 연주자 - 슬래시 (음악가)
슬래시는 1965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기타리스트이자 작곡가로, 건즈 앤 로지스의 리드 기타리스트로 이름을 알린 후 솔로 활동과 여러 밴드 활동을 거쳐 2016년 건즈 앤 로지스에 재합류했다.
제레미 스펜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레미 스펜서 |
출생 이름 | 제레미 세드릭 스펜서 |
출생일 | 1948년 7월 4일 |
출생지 | 더럼주 하틀풀 |
활동 시기 | 1967년–현재 |
웹사이트 | 제레미 스펜서 공식 웹사이트 |
음악 활동 | |
직업 | 음악가 작곡가 |
장르 | 블루스 로큰롤 |
악기 | 보컬 기타 피아노 |
관련 활동 | 플리트우드 맥 Steetley |
과거 소속 그룹 | 플리트우드 맥 Steetley |
![]() | |
![]() |
2. 초기 생애
제레미 스펜서는 더럼주 하틀풀에서 태어났다. 아홉 살 때 피아노 레슨을 시작했고, 십 대 시절 기타로 전향했다. 그의 전문 분야는 슬라이드 기타였으며, 미국의 블루스 음악가 엘모어 제임스의 영향을 받았다.[2]
1967년 여름, 제레미 스펜서는 블루스브레이커스에서 활동하던 기타리스트 피터 그린의 눈에 띄어 새로운 밴드 프로젝트인 플리트우드 맥에 합류하게 되었다.[3] 당시 스펜서는 블루스 트리오 레비 세트에서 뛰어난 슬라이드 기타 실력과 피아노 연주 실력을 인정받고 있었다. 스펜서는 믹 플리트우드, 밥 브러닝에 이어 존 맥비와 함께 플리트우드 맥의 초기 멤버가 되었다.
3. 플리트우드 맥 (Fleetwood Mac)
스펜서는 플리트우드 맥의 초기 앨범에서 엘모어 제임스의 곡을 중심으로 한 블루스 곡들을 연주하며 밴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3] 특히 "더스트 마이 브룸"과 같은 곡에서 보여준 그의 슬라이드 기타 연주는 많은 사랑을 받았다. 1968년 데뷔 앨범 ''플리트우드 맥''에서 로버트 존슨의 "헬하운드 온 마이 트레일"을 보컬과 피아노로 솔로 연주하기도 했다. 하지만 스펜서의 음악적 기여는 블루스에 한정되어 있었고, 밴드의 음악적 방향이 확장되면서 그는 점차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3] 대니 커완이 영입된 이후, 1969년 앨범 ''덴 플레이 온''에서는 그의 참여가 더욱 줄어들었다.
스펜서는 무대 위에서 엘비스 프레슬리, 버디 홀리 등을 흉내 내는 등 다재다능한 모습을 보여주며 관객들을 사로잡았다.[2] 그는 또한 선정적인 무대 퍼포먼스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으며, 이로 인해 밴드는 런던의 마키 클럽에서 출입 금지를 당하기도 했다.[4] 1970년, 스펜서는 자신의 이름을 딴 솔로 앨범 ''제레미 스펜서''를 발표했지만,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971년 로스앤젤레스 지진과 개인적인 불안감으로 인해 스펜서는 미국 투어를 이어가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그는 공연 직전 돌연 종교 단체인 갓의 자녀들에 합류하며 밴드를 탈퇴했다.
3. 1. 플리트우드 맥 탈퇴 이유
1971년 2월 15일, 플리트우드 맥이 위스키 어 고 고에서 공연할 예정이었던 날, 로스앤젤레스에 도착한 직후, 제레미 스펜서는 호텔 방을 나섰다.[6] 그는 할리우드 블러바드의 서점을 방문한 후 돌아오지 않았고, 그날 저녁 콘서트는 취소되었다.[6] 며칠 후, 스펜서는 갓의 자녀들이라는 종교 단체에 합류한 것으로 밝혀졌고, 더 이상 플리트우드 맥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고 선언했다.[6]
스펜서는 밴드 매니저인 클리포드 데이비스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밴드에 다시 합류하지 않았다.[6] 플리트우드 맥은 피터 그린을 긴급 복귀시키고, 나중에 밥 웰치를 영입하여 스펜서의 빈자리를 채워야 했다.[6]
스펜서는 세뇌 또는 강요에 의해 종교 단체에 가입했다는 소문에도 불구하고, 항상 자신의 자유 의지로 내린 결정이었다고 주장했다.[7] 그는 아폴로스라는 젊은이와 대화 후, 그가 머물던 선교부에 초대받았고, 그날 저녁 종교 단체에 합류하기로 결심했다.[7]
스펜서는 종교 단체에 합류한 결정은 옳았다고 확신했지만, 밴드를 떠난 방식에 대해서는 후회했다.[8] 그는 "내가 떠난 방식은 잘못되었고 실수였다. 즉시 그들에게 말했어야 했지만 나는 절박했다."라고 말했다.[8]
4. 플리트우드 맥 이후
스펜서는 갓의 자녀들에 합류한 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해당 단체 내에서 새로운 밴드를 결성하고 음악 활동을 이어갔다.[9] 그는 ''제레미 스펜서 앤드 더 칠드런(Jeremy Spencer and the Children)''이라는 앨범을 발매했지만, 상업적인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9] 이후 그는 브라질, 이탈리아 등 세계 각지를 돌아다니며 종교 단체의 음악 활동에 참여했다.[9] 1979년, 스펜서는 애틀랜틱 레코드(Atlantic Records)와 계약하고 ''플리'' 앨범을 발표하며 다시 한번 상업적인 성공을 시도했지만, 큰 반향을 일으키지는 못했다.[10]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필리핀과 인도 등지에서 자선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10]
1998년, 스펜서는 플리트우드 맥 멤버로서의 업적을 인정받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5]
2000년대 이후, 스펜서는 꾸준히 블루스 음악을 기반으로 한 솔로 앨범들을 발표하며 음악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006년, 노르웨이에서 녹음한 ''프레셔스 리틀(Precious Little)'' 앨범은 그가 플리트우드 맥에 있을때 활동하던 초기 블루스 스타일로 다시 돌아간 것을 보여주었다.[15] 2012년, ''벤드 인 더 로드(Bend in the Road)'' 앨범을 시작으로,[19] ''코벤트리 블루(Coventry Blue)''(2014), ''홈브루드 블루스(Homebrewed Blues)''(2016) 등 꾸준히 앨범을 발표하며 왕성한 창작 활동을 펼치고 있다.
5. 음반 목록
제레미 스펜서는 다양한 솔로 앨범과 싱글을 발표했으며, 플리트우드 맥의 초기 멤버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솔로 활동으로는 1970년 《제레미 스펜서》를 시작으로, 《플리》 (1979), 《벤드 인 더 로드》 (2012), 《코벤트리 블루》 (2014) 등 여러 앨범을 발표했다.[23] 1999년에는 《인 콘서트 – 인디아 1998》 라이브 음반을 발매했다. 싱글로는 "린다" (1970), "나탈리스" (2020), "도나디의 시녀" (2021) 등이 있다.[24]
플리트우드 맥 시절에는 피터 그린의 제안으로 밴드에 합류하여, 믹 플리트우드, 밥 브러닝, 존 맥비와 함께 초기 라인업을 구성했다. 엘모어 제임스의 곡들을 중심으로 여러 곡을 기여했으며, 특히 1968년 데뷔 앨범 《플리트우드 맥》에서는 로버트 존슨의 "헬하운드 온 마이 트레일"을 보컬과 피아노 솔로로 연주했다.[3] 1970년 앨범 《킬른 하우스》에서는 버디 홀리에게 바치는 "Buddy's Song"을 포함하여 1950년대 음악을 패러디한 곡들을 선보였다.
플리트우드 맥에서 발매한 제레미 스펜서 참여 앨범은 다음과 같다.
앨범명 | 발매 레이블 | 발매 연도 |
---|---|---|
플리트우드 맥 | Blue Horizon | 1968 |
미스터 원더풀 | Blue Horizon | 1968 |
덴 플레이 온 | Reprise | 1969 |
시카고의 플리트우드 맥/시카고 블루스 잼 1&2 | Blue Horizon | 1969 |
킬른 하우스 | Reprise | 1970 |
2013년에는 Steetley 앨범 《The Moment She Fell|더 모먼트 쉬 펠영어》을 발표했다.
5. 1. 솔로 앨범
5. 2. 싱글
- "린다"/"십대 연인" Teenage Lover영어 (비앨범 수록곡) (1970) – ''제레미 스펜서'' (1970) 앨범 수록[24]
- "나탈리스" (2020)[24]
- "스테디 온" (2021)
- "도나디의 시녀" (2021)
- "글렌의 눈물" (2021)
- "파블로바의 꿈" (2021)
- "헌책방 주인" (2021)
- "긴 집" (2021)
- "테라핀" (2022)
- "반란자들은 누구인가" (2022)
- "밤새도록" (2022)
- "앙고이스" (2022)
- "붉은 하늘의 블루스" (2022)
- "그녀가 해안에서 기다리는 것을 보라" (2022)
- "검은 구름이 몰려온다" (2023)
- "아메리칸 링고" (2023)
- "굿바이 알테아" (2023)
5. 3. 플리트우드 맥 앨범
피터 그린은 1967년 여름에 새로운 플리트우드 맥 프로젝트를 위해 기타리스트를 찾던 중 제레미 스펜서를 발견했다. 당시 스펜서는 블루스 트리오 레비 세트에서 뛰어난 슬라이드 기타와 피아노 연주를 선보이고 있었다. 스펜서는 플리트우드 맥에 합류하여 믹 플리트우드, 밥 브러닝, 존 맥비와 함께 초기 라인업을 구성했다.이들은 전통 블루스 곡으로 두 개의 앨범을 녹음했다. 스펜서는 엘모어 제임스의 곡들을 중심으로 여러 곡을 기여했다. 특히 1968년 데뷔 앨범 ''플리트우드 맥''에서는 로버트 존슨의 "헬하운드 온 마이 트레일"을 보컬과 피아노 솔로로 연주했다.[3]
스펜서의 음악적 기여가 좁게 집중되자, 그린과 플리트우드는 1968년 ''미스터 원더풀'' 이후 대니 커완을 세 번째 기타리스트로 영입했다. 이 앨범에는 스펜서의 엘모어 제임스 곡들이 실렸다.
그린과 커완은 "알바트로스", "맨 오브 더 월드", "오 웰"과 같은 히트곡을 냈지만, 스펜서는 참여하지 않았다. 밴드의 세 번째 앨범 ''덴 플레이 온''에 스펜서는 거의 기여하지 않았다. 그의 기여는 그린의 신고전주의 서사시 "오 웰 파트 2"의 피아노 연주에 그쳤다.
그러나 무대에서 스펜서는 엘비스 프레슬리, 버디 홀리 등을 흉내 내며 관객들에게 인기가 많았다.[2] 그는 선정적인 행동으로 런던의 마키 클럽에서 출입 금지당하기도 했다.[4] 이러한 분위기는 "Somebody's Gonna Get Their Head Kicked In Tonite"에 담겨 1969년 "Man of the World" 싱글의 B면으로 선택되었다.

무대 밖에서 스펜서는 조용하고 내성적이었으며, 호텔 방에서 성경을 자주 읽었다.[5]
1970년 스펜서는 ''제레미 스펜서''라는 솔로 앨범을 발매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1970년 중반 그린이 떠난 후, 밴드는 계속되었고 스펜서와 커완은 ''킬른 하우스'' 앨범에 새로운 노래를 만들었다. 이 앨범에는 엘모어 제임스의 노래 대신 스펜서의 1950년대 패러디가 더 많이 실렸고, 버디 홀리에게 바치는 "Buddy's Song"도 포함되었다. 스펜서는 커완, 존 맥비와 함께 "Station Man"을 공동 작곡했다. "One Together"는 스펜서가 무대에서 사용했던 페르소나를 언급한다.[5]
플리트우드 맥에서 발매한 제레미 스펜서가 참여한 앨범은 다음과 같다.
앨범명 | 발매 레이블 | 발매 연도 |
---|---|---|
플리트우드 맥 | Blue Horizon | 1968 |
미스터 원더풀 | Blue Horizon | 1968 |
덴 플레이 온 | Reprise | 1969 |
시카고의 플리트우드 맥/시카고 블루스 잼 1&2 | Blue Horizon | 1969 |
킬른 하우스 | Reprise | 1970 |
5. 4. Steetley 앨범
제레미 스펜서는 2013년에 《The Moment She Fell|더 모먼트 쉬 펠영어》을 발표했다.참조
[1]
서적
Then, now and rare British Beat 1960–1969
Omnibus Press
[2]
웹사이트
Jeremy Spencer biography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7-06
[3]
웹아카이브
Q&A with Jeremy Spencer, June 1999
http://www.fleetwood[...]
The Penguin
[4]
간행물
The Vaudeville Years
Fleetwood Mac
[5]
라디오방송
Insight
BBC Radio
1976-11
[6]
서적
Fleetwood–My Life and Adventures with Fleetwood Mac
Sidgwick & Jackson Ltd
[7]
잡지
Jeremy Spencer Interview
NME magazine
1974-10-05
[8]
잡지
Jeremy Spencer Interview
Classic Rock magazine
2006-03
[9]
간행물
Atlantic Records Publicity Biography – The Jeremy Spencer Band
Atlantic Records
[10]
웹사이트
Family of Love
https://www.discogs.[...]
[11]
웹사이트
Family of Love
https://www.discogs.[...]
[12]
웹사이트
Category:Music Artists - XFamily - Children of God
https://www.xfamily.[...]
[13]
웹사이트
NuBeat Music: Heaven's Magic Album List
https://www.nubeat.o[...]
[14]
웹사이트
Cathy Don't Go
https://archive.org/[...]
[15]
학술지
The Return of Jeremy Spencer
http://www.bluesrevu[...]
2006-10
[16]
웹사이트
The Penguin Q&A Sessions: John McVie Q&A Session, Part 2
http://www.fleetwood[...]
2006-01
[17]
웹사이트
Q&A with John McVie
http://www.fleetwood[...]
The Penguin
2007-01
[18]
방송
BBC4
[19]
간행물
Bend in the Road sleeve notes
[20]
뉴스
After the 'Family' broke us apart
https://www.theguard[...]
2005-11-26
[21]
웹사이트
About Steetley
http://www.steetley.[...]
Steetley
[22]
뉴스
Mick Fleetwood review – rousing all-star celebration of Peter Green
http://www.theguardi[...]
2020-02-26
[23]
웹사이트
Albums Archives » Jeremy Spencer
http://jeremyspencer[...]
2021-05-16
[24]
웹사이트
Singles Archives » Jeremy Spencer
http://jeremyspencer[...]
2021-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